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아모아 역사유물/모아모아 국보26

국보 제25호,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1. 국보 제25호,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위치 : 경북 경주시 대경로 4859 태종무열왕릉비는 무열왕릉의 전방 40m 좌측에 세워진 왕릉비입니다. 신라시대의 왕릉들은 왕릉 자체의 보존상태는 양호하지만 확실하게 어느 왕의 무덤인지를 밝힌 능은 많지 않습니다. 현재까지도 대부분은 추측에 근거할 뿐이고, 확실하게 주인이 밝혀진 무덤은 몇 없죠. 그러나 무열왕릉은 이 태종무열왕릉비의 존재 덕분에 무덤의 주인을 확실히 알 수 있는 무덤입니다. 무열왕은 한국 역사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인물인데요. 삼국시대를 종결한 중심 인물이며 신라시대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김유신과 함께 한국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 '김춘추'가 바로 이 무열왕입니다. 이 김춘추의 무덤을 확실하게 밝혀낸 비석이면서 빼어난 귀부 조각의 완성도로.. 2023. 8. 26.
국보 제24호, 경주 석굴암 석굴 1. 국보 제24호, 경주 석굴암 석굴 위치 : 경북 경주시 불국로 873-243 경주 석굴암 본존불은 대한민국 최고의 아름다움을 지닌 불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모든 불상은 이 석굴암 본존불과 비교되면서 그 미를 평하게 되었고, 역사적으로도 이 본존불을 기준으로 하여 불상의 아름다움은 떨어지기 시작한다는 주장이 많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한 경주 석굴암 석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재입니다. 석굴암은 창건 당시에는 석불사라는 명칭이었으며,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김대성이 창건한 사찰 암자입니다. 석굴암은 751년인 경덕왕 10년에 김대성을 필두로 하여 창건되었죠. 당시 김대성이 석굴암(석불사)를 세우면서 석불을 조각하기 위해, 큰 돌 한 개를 다듬어서 감개(감실을 덮는 천장돌)을 만들.. 2023. 8. 21.
국보 제22호-경주 불국사 연화교와 칠보교 / 국보 제 23호-경주 불국사 청운교와 백운교 1. 국보 제22호, 23호가 나란히. 불국사의 다리들 위치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모든 절이 다 그렇지만, 불국사는 불교의 세계를 참으로 짜임새 있게 꾸려 놓았고 그 유물들 대다수가 지금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상당히 높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찰입니다. 국보 제 22호인 연화교와 칠보교, 국보 제23호인 청운교와 백운교 역시 불교 세계를 이어주는 다리라는 점에서, 그리고 당대에 건설되어 지금까지 남아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상당하죠. 751년부터 김대성에 의해서 불국사가 중창될 때 함께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두 다리는 각각 이어진 곳이 다릅니다. 연화-칠보교를 오르면 '극락전'이 나타나며, 청운-백운교를 오르면 '대웅전'이 나타나죠. 2. 연화-칠교보 연화.. 2023. 8. 16.
국보 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1. 국보 제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위치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다보탑과 함께 신라를 넘어서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탑 문화재 중 하나인 석가탑. 다보탑과 함께 있으면 다른 외형 속에서 통일된 분위기를 내뿜는 웅장함에 그 아름다움이 배가 되는 탑이죠. 석가탑의 정식 명칭은 '불국사 3층 석탑'입니다. 석가탑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리게 된 대는 이 탑과 다보탑이 이라는 경전의 내용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죠. 다보탑은 '다보여래상주증명'의 준말, 석가탑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의 준말입니다. 석가탑 하면 떠오르는 다른 이름은 '무영탑'입니다. '그림자가 없는 탑'이라는 뜻의 이 이름은, 아사달과 아사녀라는 연인의 비극적인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둘의 자결을 슬퍼하여 그림자가.. 2023. 8. 8.
국보 제20호, 경주 불국사 다보탑 1. 국보 제20호, 불국사 다보탑 위치 :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문화재가 있는 사찰 중 하나, 또 가장 유명한 사찰 중 하나를 뽑으라면 단연코 '불국사'를 뽑을 것입니다. 그만큼 불국사는 신라시대의 건축 문화의 절정을 보여주는, 참으로 아름다운 사찰이죠. 그중에서도 두 개의 탑, 다보탑과 석가탑의 인지도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인 다보탑은, 불국사가 창건된 8세기 중반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는 탑입니다. 이 탑의 가장 큰 특징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에 있죠. 그 옆의 석가탑이 신라시대 대표적인 석탑 양식을 띤다면, 다보탑은 목탑과도 유사한 형태를 차용하면서 섬세하고 세련된 구조를 가진 상당히 독특한 미의 탑입니다. 사각형, .. 2023.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