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아모아역사6

국보 제8호,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1. 국보 제8호,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위치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80-4 이 탑비는 통일신라의 탑비로, 4.55m에 달하는 거대한 외형의 탑비입니다. 최치원이 글을 지은 4대의 비문, 즉 사산비명 중 하나로 현전하는 통일신라 비석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조각 역시 화려합니다. 또한 일부 손상이 있지만 원형을 대체로 잘 보존하고 있으며 비문의 내용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 제도, 특히 불교 문화에 대한 정보를 잘 알 수 있어, 불교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일찍인 1962년에 국보 제8호로 지정되었죠. 2. 누구의 탑비인가? 이 탑비가 정확히 언제 세워졌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탑비의 주인을 통해서 유추할 수 있죠. 탑비의 주인은 통일신라시대 승려.. 2023. 6. 10.
국보 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1. 국보 제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위치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리 319-8 이 갈기비는 1021년에 창건된, 봉선홍경사 경내에 세워졌던 사적비입니다. 현재 한국에 남아있는 석비들 중에서는 형태가 가장 잘 남아 있으며, 갈기비임에도 상당히 세밀한 형태의 귀부와 덮개돌을 가지고 있죠. 갈기비란, 일반적인 석비보다는 규모가 작은 비석으로, 대개 머릿돌이나 지붕돌을 따로 얹지 않습니다. 하지만 봉선홍경사의 갈기비는 거북 받침돌인 귀부의 모습까지도 아주 세밀하게 조각되었죠. 특히 이 귀부는 등에 귀갑 무늬를 그려넣었으며, 머리가 오른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정면이 아닌 오른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귀부의 역동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더불어 이 갈기비에 웅장함을 더합니다. 2. 봉선홍경사란? 봉선홍경.. 2023. 6. 9.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1.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위치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 석탑 중 그 크기가 가장 큰 석탑입니다. 석탑의 설립 배경과 이곳에 자리했던 절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기법을 보면 8세기~9세기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탑이 있는 현 주소를 보면 알겠지만, 이 탑은 '중앙탑'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신라 38대왕인 원성왕 때, 통일신라의 국토를 기준으로 국토의 중앙지점에 세운 것이라고 합니다. 지금도 통일신라의 영토와 비슷한 남한의 영토를 기준으로 놓고 보면 정중앙이 충북이니, 꽤나 정확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2. 석탑의 구성 이 석탑은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기.. 2023. 6. 7.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1.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이 석등은 충북 보은군 법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8각 석등입니다.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쌍사자 석등으로, 높이는 3.3m입니다. 우리나라에 여러 석등들이 전해져 내려오지만 그 독특함과 균형미, 완성도, 제작 연도, 보존 상태 등에서 가히 으뜸이라고 칭할 수 있는 석등입니다. 이로 인해 일찍이 국보 제5호로 지정되기까지 했죠. 처음 이 석등을 보면 이렇게 작은 석등이 여러 문화재를 놔두고 왜 국보 제5호로 지정되었는지 의아해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석등은 당대 석등 작품에 많은 영향을 준 선구자적인 작품입니다. 일단 이 쌍사자가 가장 큰 특징이죠. 2. 세계에서도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2023. 6. 5.
국보 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1. 국보 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위치 :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고달사지 이 승탑은 여주시의 고달사지에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승탑입니다. 이 승탑은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어 그 의의가 남다릅니다. 높이는 3.4m로 상륜부는 완전하지 못하지만 나머지 부분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합니다. 승탑이란,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봉안하는 묘탑입니다. 고승이 입적한 후에 죽음을 추모하고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세웁니다. 이 고달사지 승탑도 마찬가지죠. 기록이 현재는 없지만 제작 기법 등을 통해서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이라 추측하고 있습니다. 2. 승탑의 모습 승탑은 크게 기단부/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단 기단부는 8각의 받침돌 위에 하대석, 중대석, .. 2023.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