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시꽃 당신>, 도종환
옥수수잎에 빗방울이 나립니다.
오늘도 또 하루를 살았습니다.
낙엽이 지고 찬바람이 부는 때까지
우리에게 남아 있는 날들은
참으로 짧습니다.
아침이면 머리맡에 흔적없이 빠진 머리칼이 쌓이듯
생명은 당신의 몸을 우수수 빠져나갑니다.
씨앗들도 열매로 크기엔
아직 많은 날을 기다려야 하고
당신과 내가 갈아엎어야 할
저 많은 묵정밭은 그대로 남았는데
논두렁을 덮는 망촛대와 잡풀가에
넋을 놓고 한참을 앉았다 일어섭니다.
마음놓고 큰 약 한 번 써보기를 주저하며
남루한 살림의 한구석을 샅이 꾸려오는 동안
당신은 벌레 한 마리 함부로 죽일 줄 모르고
악한 얼굴 한번 짓지 않으며 살려 했습니다.
그러나 당신과 내가 함께 받아들여야 할
남은 하루하루의 하늘은
끝없이 밀려오는 가득한 먹장구름입니다.
처음엔 접시꽃 같은 당신을 생각하며
무너지는 담벼락을 껴안은 듯
주체할 수 없는 신열로 떨려왔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에게 최선의 삶을
살아온 날처럼, 부끄럼없이 살아가야 한다는
마지막 말씀으로 받아들여야 함을 압니다.
우리가 버리지 못했던
보잘것없는 눈높음과 영욕까지도
이제는 스스럼없이 버리고
내 마음의 모두를 더욱 아리고 슬픈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날들이 짧아진 것을 아파해야 합니다.
남은 날은 참으로 짧지만
남겨진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인 듯 살 수 있는 길은
우리가 곪고 썩은 상처의 가운데에
있는 힘을 다해 맞서는 길입니다.
보다 큰 아픔을 껴안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우리 주위엔 언제나 많은데
나 하나 육신의 절망과 질병으로 쓰러져야 하는 것이
가슴 아픈 일임을 생각해야 합니다.
콩댐한 장판같이 바래어 가는 노랑꽃 핀 얼굴 보며
이것이 차마 입에 떠올릴 수 있는 말은 아니지만
마지막 성한 몸뚱아리 어느 곳 있다면
그것조차 끼워넣어야 살아갈 수 있는 사람에게
뿌듯이 주고 갑시다.
기꺼이 살의 어느 부분도 떼어주고 가는 삶을
나도 살다가 가고 싶습니다.
옥수수잎을 때리는 빗소리가 굵어집니다.
이제 또 한 번의 저무는 밤을 어둠 속에서 지우지만
이 어둠이 다하고 새로운 새벽이 오는 순간까지
나는 당신의 손을 잡고 당신 곁에 영원히 있습니다.
1. 도종환 시인의 아내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한 <접시꽃 당신>
요즘 세대의 아이들에게 도종환 시인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시는 아마 <흔들리며 피는 꽃>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갈팡질팡하며 방향을 잃은 세대에게 힘이 되는 시죠. 하지만 그 윗 세대, 도종환 시인의 초창기 시작 활동을 알던 세대에게 도종환 시인 하면 아마도 <접시꽃 당신>을 많이 떠올릴 것입니다. 그만큼 절절한 사랑의 마음,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을 사별로 떠나보낸 이의 슬픔이 가슴을 찌르듯 전해지는 시, <접시꽃 당신>.
사별한 아내에 대한 슬픔, 가난한 삶으로 인해 제대로 챙기지 못한 아내에 대한 미안함, 그리고 슬픔에 계속 빠져들지 않고 아내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다시 일어서려는 의지까지. 이별로 겪게 되는 무수한 감정을 꾹꾹 눌러담은 이 시. 쉬운 언어로 쓰여 복잡하지 않기에 더더욱 읽으면서 시인의 감정이 전해지는 듯합니다.
*도종환 시인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https://c-knowledge.tistory.com/70
도종환, <흔들리며 피는 꽃> (시 수집 36)
, 도종환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곱게 세웠나니 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젖지 않고
c-knowledge.tistory.com
2. 쉽고 구체적인 표현으로 독자들의 감정이입을 이끌어내다
시는 상당히 깁니다. 하지만 어려운 표현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어찌보면 아내의 사별이라는 개인적인 주제를 바탕으로 쓴 이 시가 독자들에게 강한 울림을 주는 이유입니다. 쉽고 구체적인 표현, 그러면서도 공감할 수 있는 표현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마지막에는 절망에서 벗어나려는 의지, 아내뿐 아니라 우리 모두를 생각하는 애정으로까지 감정이 전환되면서 시는 전체 행에 걸쳐서 깊은 울림을 가집니다.
화자는 아내와 같이 밭을 일궈오며 살았습니다. 둘의 삶은 그렇게 여유롭지 못했죠. 마음 놓고 큰 약 써보기도 주저했다는 표현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암이 몸에 퍼져나가도, 남편을 걱정하여 돈을 함부로 쓰지 못하던 아내. 화자는 그러한 아내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합니다.
아내는 어떤 사람이었을까요. 중간의 '벌레 한 마리 함부로 죽일 줄 모르고', '악한 얼굴 한 번 짓지 않으며 살려 했습니다'와 같은 표현을 통해 유추할 수 있죠. 아마도 소박하며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겼을 것입니다. 이러한 가치를 올곧게 믿으며 '부끄럼 없는 삶'을 살려 노력했을 것입니다. 시 전반에 걸쳐 이런 아내의 고귀한 사상이 퍼져 있고, 이는 마지막에 화자가 '이웃애'를 말하는 계기가 됩니다.
아내가 암으로 쓰러져 슬픔으로 가슴이 아프지만, 화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에서 '살의 어느 부분도 떼어주고 가는 삶을 / 나도 살다가 가고 싶습니다'라는 말을 합니다. 이는 아내의 삶의 정신을 자신도 본받으며, 아내가 그랬던 것처럼 자신도 자신의 일부를 기꺼이 남에게 나눠주며 남을 먼저 생각하는 그러한 삶을 살아가겠다는 의지적 표현이기도 하죠. 이러한 의지는 결국 아내의 자취를 남기며, 아내의 곁에 영원히 있을 것이라는 표현과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3. 화자의 아내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물론 시의 도처에 기본적으로 깔린 감정은 주체할 수 없는 슬픔입니다. 이 시가 공감이 되는 것은, 위와 같은 감정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슬픔'이라는 한없이 작아지는 인간적인 감정을 바탕으로 쓰여져 있다는 것입니다. 슬픔을 초월한 정신만 나타난다면 오히려 시는 공감하기에 어려울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화자는 아내를 생각하며 '묵정밭은 그대로 남았는데, 나는 넋을 놓고 한참을 앉아만 있다', '남은 삶의 하늘은 먹장구름 투성이다', '무너지는 담벼락을 껴안은 듯하다', '우리가 곪고 썩은 상처의 가운데에'와 같은 표현들을 시 중간중간에 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다른 감정을 떠올리더라도 '슬픔'이 바탕이 된 감정이라는 사실을 계속 유지하게 해 줍니다. 하여 '슬픔 속의 새로운 희망'과 동시에 '그럼에도 당신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으로 가득한 나'라는 두 가지 모습이 조화를 이루고 있죠.
4. 당신 곁에 영원히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당신의 손을 잡고 당신 곁에 영원히 있습니다'라는 표현으로 마무리하여 화자는 당신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드러냅니다. 결국 내가 이렇게 느끼는 모든 감정은 '전부 당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감정'이며, 이러한 감정 하나하나가 소중하고 당신을 기억하는 일이라는 점을 상기시키죠.
이렇게 이 <접시꽃 당신>은 사별한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애써 담담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슬프고도 아름다운 시라는 것은 이러한 시를 보고 말하는 것일 겁니다. 아내에 대한 슬픔이 읽는 우리로 하여금 무거운 마음을 느끼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아내를 사랑하는 아름다운 감정이구나 하는 사실도 느끼게 해 주죠. 하나의 감정이 아닌 복합적인 감정을 느끼게 하는 이 <접시꽃 당신>. 단순한 사랑시를 넘어선 이유가 있습니다.
*도종환 시인의 시가 더 궁금하다면?
https://c-knowledge.tistory.com/161
도종환,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 (시 수집 107)
, 도종환 견우 직녀도 이날만은 만나게 하는 칠석날 나는 당신을 땅에 묻고 돌아오네. 안개꽃 몇 송이 땅에 묻고 돌아오네. 살아 평생 당신께 옷 한 벌 못 해 주고 당신 죽어 처음으로 베옷 한 벌
c-knowledge.tistory.com
https://c-knowledge.tistory.com/156
도종환, <담쟁이> (시 수집 104)
, 도종환 저것은 벽 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때 그때 담쟁이는 말없이 그 벽을 오른다 물 한 방울 없고 씨앗 한 톨 살아남을 수 없는 저것은 절망의 벽이라고 말할 때 담쟁이가 서두르
c-knowledge.tistory.com
'모아모아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현승, <가을의 향기> (시 수집 110) (1) | 2023.08.29 |
---|---|
안도현, <가을 엽서> (시 수집 109) (0) | 2023.08.28 |
도종환,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 (시 수집 107) (1) | 2023.08.19 |
이육사, <교목> (시 수집 106) (1) | 2023.08.16 |
김용택, <나비가 날아오르는 시간> (시 수집 105) (1)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