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아모아 잡학 맞춤법16 있는데 / 있는 데의 차이 ~~하고 있는뒈에~~ 개그콘서트를 통해 유명해진 혀경환의 유행어 '있는데'를 알고 있으신가요? 사투리와 특유의 과장된 악센트 덕분에 입에 착착 감기는 유행어죠! 이 문장을 보면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나 싶을 겁니다. 그런데 과연 '있는데'를 자막으로 내보내야 한다면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① '공부를 하고 있는데도 왜 방해하니?' ② '공부를 하고 있는 데도 왜 방해하니?' 정답은 ①번처럼 '데' 앞말과 붙여야 합니다. 대부분 틀리지 않을 내용! 그럼, 다음 문장은 무엇이 맞을까요? ① '할 수 있는데까지 공부해 보자!' ② '할 수 있는 데까지 공부해 보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헷갈리는 '데'의 띄어쓰기는 바로 이런 경우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①로 착각을 하고 사용하지만 정답은 ②번(있는 데까지.. 2023. 2. 5.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