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맞춤법12

보랏빛과 핑크빛의 차이, 사이시옷에 대해 여러분은 어떤 꽃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여름에 피는 라벤더를 좋아하는데요. 꽃의 아름다운 색을 보면 "~~빛 동산"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죠. 라벤더는 "보랏빛 동산", 철쭉은 "핑크빛 동산", 자목력은 "자줏빛 동산", 백목련은 "우윳빛 동산", 많은 꽃들이 다채롭게 피어있는 식물원은 "무지갯빛 동산"이죠. 라벤더 = 보랏빛 철쭉 = 핑크빛 자목련 = 자줏빛 백목련 = 우윳빛 느티나무 = 연둣빛 그런데 이 단어들 중 하나, 무언가 이상하지 않나요? 네, 제가 색깔로 구분해 놨지요 다른 단어들에는 'ㅅ'이 받침으로 들어가 있는데 하나, '핑크빛'만 'ㅅ'이 없군요. 이번에는 사이시옷(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사이시옷이란? 사이시옷이란, 발음할 때 나는 사잇소리 현상을 표기에도 반영한 것을 의미합.. 2023. 3. 11.
찾아보다 vs 찾아 보다 / 먹어보다 vs 먹어 보다 / 불러보다 vs 불러 보다 더보기 아침에 일어나 문틈 사이로 거실을 바라보았다. 엄마가 찌개를 한 숟갈 먹어보고 있었다. 방의 불을 켜보니 켜지지 않았다. 어둠 속에서 안경을 찾아보았는데 없어서 엄마를 불러보았다. 엄마는 힐끗 돌아보더니 얼른 일어나라고만 했다. 아직 자는 줄 아나보다. -수집가의 일기- 여러분은 지금 '보다'의 잔치를 보고 계십니다. 이 말을 하니 또 '보다'가 나왔군요. 자, 그런데 밑줄에는 틀린 말이 하나 있습니다. 과연 무엇일까요? 네? 하나밖에 없을 리가 없다고요? 하나도 없는 거 같다고요? 분명히 하나만 있습니다. 자, 과연 정답은 무엇일까요? 두구두구두구두구두구두구두구...... 정답은...! 위 문제를 보고 당황스러워 했던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번에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그리고 이와 유.. 2023. 2. 17.
저는 영수가 아니에요. 철수예요.-에요와 예요 저는 영수가 아니예요. 철수에요. 지금 어디에요? 저 물건은 일을 할 때 쓰는 물건이예요. 전부 오답!! 오늘은 '에요'와 '예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참 많이 틀리고 헷갈려하는 맞춤법입니다. 둘은 받침이 있을 때와 없을 때로 사용 방법이 나눠지지만 각각 예외가 있기도 하기 때문이죠. 총 4개의 경우를 알아둬야 하니, 천천히 살펴보길 바랍니다. 1. 받침이 있는 단어에 사용되는 '에요'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에요'의 뜻입니다. '에요'는 종결 어미로, '이다'와 '아니다'의 뒤에 붙어서 사용된다고 국립국어원에서는 다소 복잡하게 설명하고 있는데요, 우리는 쉽게 익히면 되죠. '에요'는 받침이 없는 단어 뒤에 사용된다라고 기억하면 됩니다. 저 물건은 일을 할 때 쓰는 물건이예요. 처음에 언급.. 2023. 2. 14.
'하'는 '되', '해'는 '돼'! 철수 : 돼지고기만 하루 종일 먹어도 돼지? 영희 : 그러니까 너가 '돼지' 소리를 듣는 거야. 너의 잘못을 생각해 봐. 철수는 돼지고기를 너무 좋아해서 하루 종일 돼지고기를 먹고 싶어 하나 봅니다. 그런 철수에게 영희가 면박을 주고 있네요. 그런데 문법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영희의 말에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영희가 지적한 것은 다음과 같을 수 있겠군요. ① 철수는 돼지고기만 먹는다. ② 철수가 돼/되 맞춤법을 틀렸다. 과연 어느 것을 지적한 것일까요? 이번에는 '돼/되'의 구별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돼/되는 가장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 아마 맞춤법 중 가장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이 돼/되일 거라 생각합니다. 학생들부터 성인까지 '언제 돼를, .. 2023. 2. 12.
모짜렐라가 아니라 모차렐라, 크리스탈이 아니라 크리스털 한국어 체계에서의 단어는 크게 고유어와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로 나뉩니다. 그중 외래어는 실제 사용하는 단어 표기와 국립국어원에서 표준어로 지정한 표기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외래어의 경우 외래어표기법에 의거하여 표기를 지정해야 하지만, 실제 단어가 사람들의 입과 글을 통해 오르내리며 굳어진 표기법은 그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때로는 규범 표기가 현저하게 적게 사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맛있어 보이는 모짜렐라 치즈, 맛없어 보이는 모차렐라 치즈 나는 피자에 올라간 (모짜렐라/모차렐라) 치즈를 좋아해. 정답은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짜렐라'에 동그라미를 칠 것입니다. 모차렐라라고 하면 뭔가 맛이 없어 보이는 느낌을 강하게 받죠.. 2023. 2. 8.
반응형